본문 바로가기

논문작성

참여 행동 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의 장점과 고려사항들


참여 행동 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는 조사(연구)보다는 문제의 해결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가리키며, 여기서 “참여”는 사람들의 직접적인 협력을 의미합니다. 
청소년 참여 행동 연구를 수행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단지 ‘연구 대상(객체)’이 아니라 ‘연구자(주체)’로서 성인 연구자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자신들과 관련한 중요한 문제들을 함께 탐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입니다.

-관심 커뮤니티
참여 행동 연구는 객관적 연구원이 조사를 하는 기존의 방법과는 다르게, 관심 커뮤니티의 문제 해결 계획에 의해 직접적 영향을 받는 연구 문제를 필요로 합니다. 연구 제안서는 일반적으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여 행동 연구에서는 관심 커뮤니티 내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원을 언급합니다. 

-참여 행동 연구의 주기
제안된 해결책은 먼저 검사를 거쳐야 하며, 이후 결과를 관찰해야 합니다. 참여 행동 연구의 주기는 계획-실행-모니터링-반영의 4단계로 이뤄집니다. 이러한 주기를 처음으로 실행할 때는 현 상황에 대한 상세한 검사(관찰)가  필요하며 이 검사 단계에서 최초 계획 단계 동안 제안되는 해결책을 찾게 됩니다. 

-학술적 고려 사항
이러한 참여 행동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1) 높은 수준의 긴급성: 연구 결과는 예측하기 어렵거나 결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신참 연구자와의 협업: 전문 연구 경력이 없는 신참 연구자와의 협업으로 얻은 데이터는 신뢰성의 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편향의 가능성: 연구자 자신이 해결책을 제시하며 연구 결과를 변화시키려 하여 편향성이 개입될 수 있습니다.
4) 의심되는 출처: 문헌 출처에 대한 철저한 리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5) 제한된 외삽(Extrapolation): 커뮤니티 기반의 연구결과는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6) 제한된 공헌: 특정 사례 연구(케이스 스터디)에 한정되어 광범위한 영향을 주기 어렵습니다.

이처럼, 참여 행동 연구는 상황 특이적 연구 프로젝트입니다. 즉, 상황에 따라 연구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학술적인 엄격함을 배제한다면, 연구 결과는 제한된 독자들에게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참여 행동 연구는 주로 사회학 계통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는 방식입니다. 왜냐하면 사회학 분야는 사회 구성원의 실제 생활을 기반으로 하며, 각 사회구성원이 느끼거나 지각하는 주관적 요소도 과학적 연구의 대상으로써 고려하기 때문입니다. 사회학자들도 참여행동연구가 근본적으로 관심 커뮤니티에 따라 연구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점과  또한 연구 참여자가 연구에 있어 아마추어인 경우가 많으므로 그 결과가 덜 전문적일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 행동 연구를 수행하는 목적은,  과학적 지표로써 객관화하기 전 단계의 연구 대상에 대한 보다 생생하고 살아 있는 입장에 대해서 충분히 살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관련된 사회과학 주제 연구의 데이터 풀의 증가와 관련 연구 활동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SNS 관련 데이터를 그 자체로써 과학 데이터로 사용하기 힘들지만 2차적인 참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듯이, 참여 행동 연구도 엄밀한 의미의 과학연구와는 다를 수 있지만 참조적인 연구로써 그 활용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현장형, 참여형 연구 방식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