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실험실의 PI 소개 페이지나 학술 발표 시, 경력 요약서(Academic Bio)를 접하게 됩니다. 경력 요약서는 이력서(Resume)나 CV와는 달리 전문 경력적 측면을 간략하게 요약한 문서를 말합니다.
-이력서(Resume), CV, 경력 요약서의 차이
이력서는 주로 회사나 학교의 특정 직무에 지원 시, 관련된 전문 경력 사항에 초점을 맞춰 작성한 1~2페이지의 문서를 말합니다. 즉 교육적 배경, 경력, 특별한 기술이나 숙련도에 관련한 기본 정보만을 포함하여 1페이지 정도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Resume라는 표현은 summarize(요약하다)"의 의미를 가진 프랑스어이기도 합니다.
다음으로 CV는 라틴어 어구 "curriculum vitae(한 사람의 인생의 과정)"의 약자로써, 이력서보다 자세하게 자신의 경험, 학위, 연구, 수상, 출판, 소개와 기타 보여줄 수 있는 성과들도 모두 포함할 수 있습니다. 보통 약 4~5 페이지 정도로 작성됩니다.
마지막으로 경력 요약서(Academic Bio)는 작성자가 컨설팅, 발표 또는 잡 서칭을 위해 자신의 경력에서 가장 두드러진 사항들을 강조하여 작성하는 에세이 형식의 요약문을 말합니다.
이러한 경력 요약서 작성을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신의 성명(Full Name)으로 시작
2. 이어서, 현재 직위, 연구 분야,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
3. 최근에 있었던 가장 저명한 수상 내역을 기술
4. 개인적 문구로 마무리
그리고, 경력 요약서 작성 시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인칭 시점(저는 ~했습니다)으로 작성하지 말 것
2. 현재 직위(직무)와 관련한 경력을 자세히 기술하지 말 것. 예를 들어 석사, 학사 학위와 관련된 내용은 기술하지 않고 석사 과정 이전의 경력은 배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의 두 예들 중 바람직한 경력 요약서는 어느 쪽일까요?
1. 안녕하십니까. 제 이름은 김성철입니다. 저는 서울에서 태어났고 현재 미국 뉴욕대학교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는 현재 “사슴의 이주 패턴에 따른 초목 섭생에의 영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는 10대 때 사슴 관련 연구에 흥미를 가졌고, 이후 야생 관찰 활동을 해왔습니다. 저는 SUNY에서 학부를 마친 후, 헌터 대학교에서 임업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2. 김성철은 현재 미국 뉴욕대학교의 조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그의 관심 연구 주제는 “사슴의 이주 패턴에 따른 초목 섭생에의 영향”입니다. 연구를 위해 자주 방문하는 곳은 그의 집 뒷마당으로, 애크런 국립공원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1번은 1인칭으로 작성되었고, 작성자의 현재 직위(직무)와 연구 분야가 다른 내용에 감춰져 있습니다. 반면, 2번은 간결하게 핵심 사항들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보다 긴 경력 요약서의 경우에도 연구 내용, 교육적 배경, 향후 프로젝트 및 관심 분야에 대해 보다 자세히 기술하면 됩니다. 그리고 제일 마지막에는 가족과 관련된 사항과 더불어 개인적 문구를 넣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경력 기술서는 자신을 소개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간결하며 핵심을 포함해야 합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이 당신에 대해 알게 될 첫 번째 사항이므로, 가장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해외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경력 요약서의 예를 첨부하니 참조해 주세요.
“Scott Sampson is a professor of Wildlife Biology at North Yankee University. His work focuses specifically on the migration patterns of antelope and their impact on the growth of native grain. His favorite place to do research is his backyard, which opens to the Akron National Forest.”
'논문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학술 원고를 알아차리는 법 (0) | 2016.10.19 |
---|---|
학술 인터뷰에서 자주 묻는 질문 10가지 (0) | 2016.10.19 |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란 무엇인가? (0) | 2016.10.18 |
참여 행동 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의 장점과 고려사항들 (1) | 2016.10.18 |
연구 자문의 가치 (0) | 2016.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