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계소식

효율적인 국제협력 공동연구를 위한 5가지 팁 현대 과학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반적인 추세로 각각 다른 나라에 기반을 두고 있는 과학자들 간의 국제적인 협력 공동연구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연구단체나 연구기관이라 할지라도, 단일 연구기관 내에서 가능한 전문성과 능력에는 제약과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국제협력 공동연구는 여러 과학 분야 사이의 학제 간 연구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어 획기적인 접근법, 또는 광범위한 전문성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므로, 연구단체, 연구기관과 국경을 넘어 계속 세계화, 국제화의 추세에 있습니다. 또한 국제협력 공동연구는 다양한 과학적 문화적으로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 사이의 국제적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국제협력 공동연구 구성원들 사이의 과학적 문화적 다양성.. 더보기
6개의 게재 논문철회 후 사임한 명성 있는 영양학자 과학적 부정행위가 연구 결과물 재현성 위기 문제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찬반의 논란이 있긴 하지만, 이 둘은 과학 학술계에 있어 중대한 근심거리입니다. 특히 재현성 위기는 연구자가 많은 실험을 통해 얻었던 연구 결과물을 재현할 수 없다는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여러 학술지가 철회하는 게재 논문의 수가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최근에는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JAMA) 학술지가 Cornell University의 교수이자 영양학 연구자인 Brian Wansink 박사의 논문 6개를 철회하였습니다. 게재 논문 철회 뒤의 필연적인 사임은 재현성 위기의 중대성을 부각했습니다. 가장 존경 받던 영양학 전문가 중 한 명인 Wansin.. 더보기
산업체 연구직 지원을 위한 이력서 쓰기 팁 많은 젊은 연구자들이 박사학위 취득 막바지에 이르면 마땅한 진로를 선택하는 시험대에 직면하게 됩니다. 학술계 연구가 모든 사람에게 매력적이진 않기 때문에, 일부의 연구자들은 때때로 산업체 연구직으로의 진로를 고려합니다. 산업체 연구란 개인이나 비영리 부문에서 시행되고 있는 응용연구라고 정의 내릴 수 있습니다. 만일 일자리를 찾는 젊은 연구자들이 학술계 외에 다른 경험이 없든지 아주 적다면 어떻게 산업체 연구직에 지원해야 하는지 모를 수도 있습니다. 산업체 연구직에 지원하기 위한 이상적인 이력서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왜 산업체 연구를 택하는가? 지난 수년간 박사학위 소유자 수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지만, 대학 교수직을 포함한 학술계 내의 직업 수는 증가하지 않고 있습니다. 2011년 한 .. 더보기
신입 연구원의 희망 및 디딤돌! 여비보조 장학금!! 국제 협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배경을 가진 연구원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토론하게 됩니다.이 과정을 통해서 더욱더 창의적이고 통찰력이 있는 연구 및 발명을 할 수 있습니다.또한, 그 연구하는 분야에도 더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이러하여, 현재 국제 협동은 추세가 되고 있습니다.그런데 어떤 방법으로 이런 기회를 만들 수 있을까요?가장 흔한 방법은 출판이나 학회입니다.현재 다양한 학회가 열리지만 그런 자리는 항상 연구원이 거주하는 나라에서 진행하는것이 아니라 외국에서 진행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여행경비는 특히 학생이나 신입 연구원들한테는 큰 부담이 됩니다.이러하여 여비 보조는 중요합니다.이를 통해 좋은 기회를 얻고 연구원으로써 더욱 빛나는 미래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이 글을 통해서 여비 보조로.. 더보기
미국 국립 과학 재단 대학원생을 위한 유학 장학금이 중지될 것인가?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은과학 및 공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특히 대학에서는 두 분야의 발전을 위한 시설을 제공하면서과학자들의 연구비를 지급하기도 합니다.이런 노력으로 미국에서 세계 최상급의 과학자 및 엔지니어가 배출되었습니다.과학 연구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기금 및 장학금이 필요합니다.그런데도, 현재 이 재단은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얼마 전에 이 재단의 해외 지사가 갑자기 없어졌습니다.또한, 대학원생을 위한 국제 연구 장학금(Graduate Research Universities Worldwide, GROW) 프로그램은 중지됐고현재 검토 중이라는 발표가 있었습니다.이런 발표로 인해 장래가 유망한 대학원생뿐만 아니라교수.. 더보기
연구원들의 관점에서 본 ORCID(Open Researcher and Contributor ID) 전세계적으로 연구원들과 연구논문들의 수효가 늘어나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이름을 가진 연구원들이 많아졌습니다. 때문에 특정 저자의 연구논문을 찾기가 더 어려워 지고, 연구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연구논문과 성과를 알리기가 더 어려워졌습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쓰는 평범한 이름일 경우에 더 심합니다. 특히 아시아 국가들처럼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성을 쓰는 경우는 문제가 심각합니다(2011년에 Nature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Y. Wang 이름으로 출간된 논문이 3,926개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2년에 ORCID(Open Researcher and Contributor ID, 연구자 고유식별코드)가 만들어 졌습니다*. ORCID는 “공개 연구자 및 기여자 ID”를 의미합니다.. 더보기
[이나고 제공] 반물질(antimatter)의 포획과 측정, 그리고 미래 물질은 보통 양성자, 중성자 및 전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반물질은 반대로 반양성자, 반중성자 및 반전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반입자는 물질과 모든 성질이 같지만 전기적 성질이 반대인 것을 말합니다. 물질이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처럼 반물질은 반입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930년에 폴 디랙(Paul Dirac)이 처음 반전자(positron)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고, 1931년 칼 앤더슨(Carl D. Anderson)이 반전자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였습니다. 이후 반양성자, 반중성자 등이 계속 발견되면서 전자, 양성자, 중성자의 반물질이 모두 확인되었습니다. 물질과 반물질이 만나면 폭발이 일어나면서 물질과 반물질을 합친 만큼의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물질은 없어집니다. 따라서 반물질.. 더보기
과학기술 공동연구가 성공하려면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고도화될 수록 연구자와 장비 및 시설들을 한 곳에서 모두 보유하고 운용하는것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보유하지 못한 기술이나 장비, 인재들을 다른 기관이나 지역과 협력하여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과학기술 분야의 공동연구로 나타나고, 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공동연구의 이점은 독자적인 연구보다 상호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 시너지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제임스 왓슨(James Dewey Watson)과 프랜시스 크릭(Francis Harry Compton Crick)이 DNA 이중 나선 구조를 발견했을 때, 로살린 프랭클린(Rosalind Elsie Franklin)의 X-선 결정체 연구가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만약 로살린 프랭클린 의 연구 지원이 없었다.. 더보기
과학 연구에서 데이터 편집은 비윤리적인 것일까요? 연구를 하면서 느낄 수 있는 즐거움 중 하나는, 그 동안 실험을 통해 얻은 많은 데이터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넣고 엔터 버튼을 누르자 말끔한 그래프로 나오는 것을 볼 때 일 것입니다. 이를테면, 아주 깔끔한 직선 그래프가 나왔네요. 아마도 아마 반응의 역학적 부분을 설명해 줄 것입니다. 그러나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니까, 그래프에서 조금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발견됩니다. 일정한 기울기가 나와야 하는데 몇몇 점들이 직선에서 벗어나 있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이런 것은 문제가 없습니다. 가공하지 않은 데이터로 만든 그래프니까, 조금만 손대면 깔끔한 그래프를 만들 수 있습니다. 3 시그마 범위를 벗어나는 모든 데이터를 지웠더니 그래프가 조금 나아진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2 시그마 범위를 벗어나는 모든 데이터를.. 더보기
과학 연구에서 데이터 편집은 비윤리적인 것일까요? 연구를 하면서 느낄 수 있는 즐거움 중 하나는, 그 동안 실험을 통해 얻은 많은 데이터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넣고 엔터 버튼을 누르자 말끔한 그래프로 나오는 것을 볼 때 일 것입니다. 이를테면, 아주 깔끔한 직선 그래프가 나왔네요. 아마도 아마 반응의 역학적 부분을 설명해 줄 것입니다. 그러나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니까, 그래프에서 조금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발견됩니다. 일정한 기울기가 나와야 하는데 몇몇 점들이 직선에서 벗어나 있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이런 것은 문제가 없습니다. 가공하지 않은 데이터로 만든 그래프니까, 조금만 손대면 깔끔한 그래프를 만들 수 있습니다. 3 시그마 범위를 벗어나는 모든 데이터를 지웠더니 그래프가 조금 나아진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2 시그마 범위를 벗어나는 모든 데이터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