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계소식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


현대의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발전에의 기여가능여부도 매우 중요시되고 있습니다.예전에는 지역사회, 관련 모임을 단지 연구 대상 또는 객체로 보는 경향이 컸습니다.그러나 오늘날의 연구는 지역사회 및 관련 모임을 연구의 대상을 넘어 주체 혹은직접적 참여자로 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지역사회 참여연구가 중요하게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누구에게나 통용될 수 있는 연구의 객관성

연구는 객관성을 담보해야 합니다. 연구 과정에있어 관찰 및 기록을 통해 객관성을 보장해야 하며 결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연구와 관련된 이해관계의충돌을 예방해야 하지요. 광범위한 실험 집단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만들기 위해 통계학의 미래예측기법 중하나인 외삽(Extrapolation)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이마저도 의료 및 교육 분야에서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의 특징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Community-BasedParticipatory Research, CPBR)는 새로운 접근법을 취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를 시험 대상이 조사 연구 파트너로 봅니다.지역사회는 연구의 거의 모든 측면에 깊게 참여하며, 연구자는 이를 통해 어떤 이슈가더 영향력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연구자들은 연구의 결과로서 제안된 해결책에 대해 직접적피드백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기존 전통적 연구 모델은 문헌 리뷰에기반하여 가설을 제안해 왔기에 지역사회의 깊은 내면과 특징을 파악하기 힘들었습니다.

 

주인의식에 따른 참여

의료, 교육 연구 분야에서는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지역사회의 적극적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최근 한국 메르스 유행 사태도 지역사회의 참여 없이는 그 해결도,연구도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사회 참여를 이끌어내는 과정에 있어서,아래와 같이 몇 가지 쉽지 않은 장애물에 직면하게 됩니다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같습니다.

 1) 신뢰: 지역사회에서 이뤄지는일반적인 발표만으로는 주민들의 연구참여를 이끌어내기 힘듭니다. 연구를 통해 얻고자 하는 바를 대중에게 이해시키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물론, 연구 관련 모든 질문에 대해 상세히답변해야겠지요.

 2) 참여에 대한 보상: 연구에관심을 가지게 되었더라도, 실제참여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어떠한 보상,장점이 있는지를 알려야 합니다. 일부 연구자는 물질적 보상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반면, 어떤 참여자는 ‘소속 지역사회를 도울수 있는 기회’라는 점만 보고 긍정적으로 참여하기도 합니다. 

 3) 기술, 훈련:지역사회 거주자들은 자신이 몸 담고 있는 지역사회의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 훈련의 기회는 제공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따라서, 직접적 주민 참여연구를 위해서는 제안된 해결책에 대한 기술 훈련이 필요하기도합니다.

 4) 지속적 지원: 제안된 해결책이시행되는 동안, 장기간의 협력과 지속적 지원이 있어야 궁극적으로 성공할 수 있습니다.

 

설문지로? 현장에서?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는 문서화(서면 조사)하기는 쉬우나 그 실제 시행(현장 조사)은 어려운 편입니다.따라서 참여연구의 성공을 위해서는 가능한 모든 전통적인 연구 방법론을 도입해야 합니다. 진정한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지역사회의 지식, 관행등을 잘 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관련된 자원, 결과,장애물, 신념 등을 균등하게 참여자들과 공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