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정부 셧다운 종료: 과학 기관들도 정상화될까요? 역사상 최장기간의 정부 셧다운 이후, 미국 정부는 현재 다시 업무를 재개했습니다.트럼프 대통령의 국경을 위한 후원에 대한 분쟁은 해결된 것이 아니라 연기되었을 뿐, 대통령과 의회는 2월 15일까지 정부 업무를 재개하기로 합의했습니다.그동안, 과학 기관을 포함한 정부 기관은 셧다운 기간 중 흘려보낸 35일간의 중요한 업무일을 복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ASA, 미국 산림청(Forest Service) 등의 많은 주요 과학 기관이 셧다운 기간 동안 업무를 하지 않았습니다. 이 예상하지 못한 35일간의 공백은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까요?이 기사에서 셧다운이 과학 기관에 끼친 파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경제 전반에.. 더보기
연구발표 질의응답 시간을 적절히 활용하기 학회에서 연구발표를 끝내고 나면 언제나 이루어지는 마지막 단계가 바로 질의응답 시간입니다. 열심히 준비해서 연구발표를 잘 마친 발표자들도 자신이 발표한 내용이나 의견에 대한 통제력을 잃지 않을까 하는 우려와 염려로, 이 부분에 대해 가장 많이 긴장하고 겁을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연구발표를 들은 청중들은 질의응답 시간의 질문을 통해 발표된 연구 결과물을 더 분명히 이해하고 배운 것을 한번 더 확인하는 기회로 삼기 때문에 질의응답 시간은 전체 청중을 위한 연구 발표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따라서 발표자는 질의 응답시간을 연구발표의 공식적인 필수 부분으로 생각하고 연구의 핵심내용을 전달하는 것처럼 조심스럽게 계획하고 미리 대처하여 연구발표의 전체적 효율성을 증대시킬 기회로 .. 더보기
정보의 바다에 익사하지 않고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하기 정보 과다 또는 정보 과잉이란 용어는 1964년 Hunter대학의 정치학 교수였던 Bertram Gross 박사에 의해 조어되어 “The managing of organizations”라는 책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실질적으로는 1970년이 되어서야 미국의 저자이자 미래학자인 Alvin Toffler가 저술한 “Future Shock”이라는 책을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Gross 교수는 정보 과다 또는 정보 과잉이란 어떤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양이 처리 수용력을 넘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어떤 일이나 정책의 결정을 내리는 사람의 인지 처리 수용력이 일정한 한계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국 정보 과다가 일어나면 결정에 있어 그 질적 감소가 일어날 수 밖에 없다고 정의하였습니다.과학적 연구를 진행하면.. 더보기